본문 바로가기

꿀팁(고급정보)

왕기초영어 [문장성분의 종류, 5대 문장형식]

728x90
반응형

문장성분의 종류는 : S V O C M

 

S : 주어 - 의미상 "~은/는/이/가"로 해석되는 곳의 ~부분에 들어가는 것

1. 모든 종류의 명사 2. 동명사 3. to부정사
4. that절 5. 간접의문문(if제외) 6. 대명사 7. 가주어 it

 

V : 서술어(동사) - 의미상 "~이다", "~하다" "~다" 로 해석되는 것.

1.모든 종류의 동사 2. be동사 3.동사구 4. 진행형
5.수동태 6. 조동사 7.시제(언제 있었던 일이란 말인가?)

 

O : 목적어 - 의미상 "~을/를" 로 해석되는  것,  경우에따라 "~에/에게" 로도 해석

1. 모든 종류의 명사 2. 동명사 3. to부정사 4. that절
5.간접의문문 6. 대명사 7. 재귀대명사

C : 보어 - 의미상 "~이다" ,"~되다", "~아니다" 앞에나온 주어나 목적어의 상태나 모습을 말해주는 것, be동사는 항상 보어를 이끈다.

1. 명사(동사가 be동사)   2. 형용사(동사가 be동사 또는 지각동사)    3. to부정사 
 -> 보어는 주로 동사가 어떤 동사냐에 따라 목적어인지, 보어인지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M : 수식어 - 첨가되어있는 수식어는 없애도 문장 전체의 해석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단지 문장의 의미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리기 위해. 세련되기 위해 넣는다.  주어속에 있을수도 있고, 어디에나 있을 수 있다.

전체적인 의미 파악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 있어도 없어도 되는 것들은 수식어로 생각해도 좋다.

 

 
     Tip! 명사인지 동사인지 어떻게 아냐구요?? 사전을 찾아보면 각 단어의 품사를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전표시

n

vi

 

vt

 

adv (or ad)

adj

 

품사

명사

타동사

 

자동사

 

부사

형용사

 

(사물이름)

하다

 

하다

 

~하게

~한

 

 

 

5대 문장형식의 기본 틀

 주어위치에는 반드시 사물 이름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That he killed her  (그가 그녀를 죽였다는 사실은) 과 같이 긴 that절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은" 으로 해석되면 모두 주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처럼 절(문장) 한 개가 통째로 주어일 때는 '주절'이라고 합니다. 

 

 

1형식 :  S 주어 + V 동사       
S는 V한다 ->S는 V한다
           
2형식 : S 주어 + V 동사 + C 보어     
S는C이다. ->S는 C이다(하다).
           
3형식 : S 주어 + V 동사 + O 목적어     
S는 V한다 O를 ->S는 O를 V한다
           
4형식 : S 주어 + V 동사 +  IO 간접목적어 + DO 직접목적어   
S는 V한다 IO에게 DO를 ->S는 IO에게 DO를 V한다
           
5형식 :  S 주어 + V 동사 + O 목적어 + OC 목적보어   
S는 V한다 O를 OC인~ -> S는 OC인(OC하는) O를 V한다

 

 

--------------------------------------------------------------------------------------------------------

 자세한이야기

--------------------------------------------------------------------------------------------------------

 

1. 영어의 형식을 배우는 이유

 형식이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영어에서 나올 수 있는 문장의 형태를 의미합니다. 즉 문장의 생김새라는 얘기죠. 영어에서 만들어지는 문장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5가지입니다. 여러분이 만나게 되는 영어 문장은 이 다섯 가지 형태를 벗어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형태가 있고 거기에 살이 붙어 문장이 길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건물도 다 뜯어보고 나면 남는 것은 그 건물을 지탱하는 기둥뿐입니다. 우리가 보는 영어 문장도 잡다한 것을 제외하고 나면 기본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말만 남게 됩니다. 기둥이란 건물의 가장 기초죠? 건물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입니다. 형식도 마찬가지입니다. 문장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인 것입니다. 그렇게 기본을 이루는 문장의 형태가 5가지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영어의 5가지 기본 문장에 대해 배우는 것입니다. 뭐든지 뼈대를 알면 대략적인 생김새를 알 수 있는 법이니까요.

 

 

2. 영어는 순서에 의한 언어이다

 잠깐 우리말 공부 좀 해볼까요? 우리말의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구분은 어떻게 하나요? 주어는 단어 뒤에 ‘-은, -는, -이, -가’가 붙고, 동사는 단어 뒤에 ‘-하다, -다’, 목적어는 ‘-을, -를, -에, -에게’, 보어는 ‘-이다, -되다, -아니다’가 붙습니다. 때문에 단어가 어디에 오든지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는 확연히 구분이 됩니다. 다음 문장을 보세요.

 

 

① 나 영어 배운 / 배운 영어 / 영어 배운 /  영어 배운

 

 

 위의 세 문장은 각기 순서가 틀리지만 각 단어가 그 성격을 나타내는 조사(-은, -는, -이, -가, -하다, -다, -을, -를, -에, -에게, -이다, -되다, -아니다 같은 것들을 말함)가 따라 다니기 때문에 어디에 놓던지 주어는 주어, 동사는 동사, 목적어는 목적어가 확연히 구분이 되며, 따라서 뜻도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영어는 그렇지 않습니다. 영어는 자리에 의해서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가 결정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맨 앞에 오는 단어는 주어, 주어 다음 오는 단어는 동사, 동사 뒤에 오는 단어는 목적어나 보어가 됩니다. 그러니까 다음 같은 형태를 이루는 것이지요. 주어 - 동사 - 목적어(보어) 영어는 앞의 순서를 벗어나면 말이 되지 않습니다 다음 문장을 보세요.

 

 

            I learn English(○)            Learn English I(×)          English I learn(×)          English learn I(×) 

② 나는 배운다 영어를 (○) / 배운다는 영어다 나를 (×) / 영어는 나다 영어를 (×) / 영어가 배운다 나를 (×)
 

 

 

  우리말은 단어를 어디에 배치하던 말이 되었는데, 영어는 맨 앞의 문장만 말이 되고 나머지 세 문장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쉽게 말해서, 영어는 맨 앞에 오는 단어에 ‘-은, -는, -이, -가’를 붙이고, 그 다음에 오는 단어에 ‘-하다, -다’를, 그리고 그 다음에 오는 단어에는 ‘-을, -를, -에, -에게’를 무조건 붙이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위의 문장을 해석해 보면,
맨 앞의 문장만 말이 되고 나머지 문장은 말이 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말에서는 조사가 단어에 붙지만 영어는 조사가 순서에 의해 결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①의 예를 보면 우리말은 조사가 단어를 따라 다니지만 영어 문장을 해석한 ②의 예에서는 조사가 세 문장 모두 ‘-는 -다 -를’ 순서로 바뀌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맨 앞은 무조건 주어, 그 뒤에는 동사, 그 뒤에는 목적어나 보어로 해석을 하기 때문입니다. 거기가 자기 자리니까요. 주어 자리에 오면 주어가 되고, 동사 자리에 오면 동사가 되고, 목적어(보어) 자리에 오면 목적어(보어)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동사면 동사 자리에 있어야지 동사가 주어나 목적어 자리에 감히(?) 갈 수가 없는 것입니다. 주어나 목적어의 경우도 그렇고요. 이런 이유로 영어는 순서가 바뀌면 말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고, 우리말과 달리 영어를 순서에 의한 언어라고 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영어의 이런 특징을 이해한다면 여러분의 영어공부는 이미 반이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자.. 자신감을 갖구요, 다음에 제시되는 영어의 어순 5가지를 잘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3. 1형식 이야기 [ 주어 + 동사 ]

  1형식은 영어의 5가지 형식 중 가장 기본이 되는 형식입니다.

 

 

Birds sing / The dog runs / He comes 

 

 

  3문장 모두 주어와 동사만 있지만 모두 뜻이 성립된다.  이렇게 목적어나 보어가 없어도 말이 되는 동사를 자동사(스스로뜻을 이룰수있는동사)라고한다.  따라서 1형식이 사용되는 동사가 바로 자동사이고, 거꾸로말해 자동사가쓰인 문장은 모두 1형식이되는 것이다.

 

형식

 

 →1. 영어의 제 1 형식 구조는 "~는(가) ~하다"의 문장으로 가장 간단한 구조이다  1형식문장은 '주어 + 자동사'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때 자동사란 주어의 행동을 목적어 없이 그 자체로 표현해주는 동사이다.  따라서 자동사는 주어만 있으면 완전한 문장을 형성하는 동사이다.

 

 →2. 영어의 제 1형식 문장에 해당하는 우리말

 

나는 갑니다 / 그는 잡니다 / 그녀는 먹습니다 / 그들은 앉습니다 / 너는 공부합니다 / 우리는 수영합니다. 

 

 

 →3. 이와 같이 자동사는 주어가 되는 "나, 너, 그, 그녀, 그들, 우리"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다.  영어에서는 많은 동사들이 자동사와 타동사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지만 일부 동사들은 자동사로만 쓰인다.  여기서 자동사로 쓰이는 동사들을 살펴보고 문장을 만들어본다.

 

 

출처 : Tong - sjhfeel님의 영어기초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