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고급정보)

영어발음법칙

728x90
반응형
아마 기초를 배울때 해야하는데...
안외우면 고생합니다. 발음법칙이 젤 중요한거 같아요.

T법칙2 - 연음의 주범, 굴리는 소리 t[ŧ]
t는 강모음과 약모음 사이에 오면, 'ㄹ' 과 비슷한 굴리는 소리로 변한다. 강모음 + rt + 약모음,
-tle, -ttle일 때도 마찬가지. What are you...가 '워라유'로 발음되는 이유.
item  battery  portable  bottle
하지만 각각 발음은 내고가요, 워라유 라고 하지않고
엑센트가 달라서
what are you 할때 t발음이 약하지만 분명하게 나요
두꺼운게 제일 많이 발음돼고요, r은 '루'가 베이스 정도? craving 할때 크뤠이뷩 정도로..
T법칙3 - 코 바람소리 t
단어 가운데 t가 있고 끝이 n으로 끝나서 [tn]일 때 [t]는 코 바람 소리로 발음한다.
often의 [t]는 묵음만은 아니다.
button  certain  mountain  Boston
이 소린 먼소린지 모르겠다는
certain 할땐
튼<약하게 발음함으로 코맹맹소리가날정도로, 튼은 짧게 썰이 2면 튼은 1정도로
T법칙4 - n에 먹힌 t
t가 모음 사이에 '-nt-'의 형태로 오는 겨우, t는 n sound에 동화되어 그 음가를 잃어버린다.
콘티넨탈(continental)이 '커니네널'이 되는 이유.
twenty  dental  continental  international
contintal
아까전에도 말했듯이 발음하나하나 다 넣어서 말해요 미국인들은
아주 약하게해서 별로 안드리는거죠(무음빼고)
T법칙5 - 미국인들이 무시하는 t[(t)] 소리
-nt로 끝난 단어의 끝소리[t]는 발음하지 않아야 자연스러운 미국식 발음.
point  convenient  important  don't
그럼 포인트 는 포인 이돼게요?
티 발음 있어요
T법칙6 - 된소리 t
[st]의 복자음 형태일 때, s 바로 다음에 나온 t 소리는 된소리 'ㄸ'로 발음한다.
stop는 '스탑'이 아니라 'ㅅ땁'으로 발음되는 이유.
stop  street  stapler  institute
t 발음 나는데
T법칙7 - '츄'[t ]로 발음하는 t
tr-로 시작하는 단어에서는 t는 '츄'로 발음한다. -ture로 끝난 단어에서 t도 '츄'로 발음한다.
train  trouble  future  natural
이건 맞네요
T법칙8 - 묵음 t
t를 절대 소리내서는 안 되는 경우. 눈으로만이 아니라 입과 귀로 익히도록 노력하라.
castle  glisten  wrestle  fasten
이겄도 맞고요
발음법칙9 - [æ]와 [e] 가려듣기
[æ]는 우리 발음 [애]보다 입을 양옆으로 힘을 주며 당겨 발음해야 한다. '아스피린,
please' 하면 미국인이 못 알아듣는 이유.
apple  allergy  Viagra  advertisement
애하고 에하고 중간발음
발음법칙10 - 'ㅂ'도 'ㅃ'도 아닌 [b] sound의 정체
[b]는 우리말 'ㅂ'이 아니다.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약간 말아넣고 내는 소리여서 (으)ㅂ 정도로
발음해야 옳은 발음.
baby  Barbara  mobile  gamble
입술이 두개가 말아너어져서하는거죠<루즈 바르고 음므므므하는거 있잖아요 다 고르게 발를라고 그정도로
발음법칙11 - 첫소리 c가 만드는 [k] 소리
첫소리로 나온 c의 [k] sound는 거친 소리. [ㅋ]보다 턱을 목쪽으로 당기면서 입을 크게 벌리고
발음하면 된다. '카우보이'가 아니라 '캬우보이'가 되는 이유.
crazy  crown  cute  coupon
이것도 꽤 괜찬음?
발음법칙12 - t의 사촌 d도 화려하게 변신한다
정석 d sound는 혀끝을 입천장 볼록한 부분에 대고 발음한다. d는 정석 t와 발성법이 같아
t와 유사한 pattern의 변화를 보인다.
double  bedtime  cradle  sandwich
그냥 살짝 입천장에 닿아요혀가
발음법칙13 - 굴리는 d
강모음 + d + 약모음에서 d가 약화되면서 [ŧ]로 소리가 난다.
[t] →[ŧ]로 변하는 것과 원리는 같다. everybody가 '에브뤼바리'가 되는 이유.
audience  pardon  noodle  fiddler
디 발음은 그래도 나요
아무리해도 미국에선 정확하게 발음은 나요
참고로 battery할때도 배터ㄹ뤼
발음법칙14 - '듀'인지 '쥬'인지 아리송한 소리 [dr-]
dr-로 시작하는 발음에서 d는 '듀'와 '쥬'의 중간소리로 들린다. dry 발음이 '드라이'가 아니라
'듀(쥬)롸이'가 되는 이유.
dream  drink  drug  dry-clean  dress
드에 가까워요
드ㄹ롸이 정도?
발음법칙15 - 쑥쓰러워 안 하다가 못 알아듣게 된 발음 [f]
[f]는 윗니로 아랫입술을 지긋이 깨물고 바람을 세게 내보내는 소리.
특히 f가 단어 끝에 있을 때는 '프'라고 발음하지 말라. 바람 새는 소리만 낸다.
fastfood  golf  coffee  phoenix
모.. 난 에프발음이 그렇게 어려운진 모르겠지만요...
발음법칙16 - 목구멍을 크게 벌리면 오히려 잘 되는 소리 g
[g]는 턱을 아래로, 즉 목쪽으로 떨어뜨리고 목구멍 깊숙한 곳에서 끌어올리듯 발음한다.
g는 'ㄱ'보다 걸쭉한 소리.
girl  signal  graphic  ghost
girl 거렬?한국어론 잘 안돼내요
발음법칙17 - 들려야 되는데 안 들리는 h 소리
인칭대명사 he, him, his, her, 조동사 have, has, 부사 here 등의 h는 빠른 대화에서
약화되어 거의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like him'이 '(으)라이큼'으로 들리는 이유.
Don't tell (h)er.
Bring (h)im over (h)ere.
I hope (h)e will be all right.
ㅎ 발음은 내긴 내는데요
그리고 h발음이 'im 정도로 들리는건 미국 사투리 정도?
발음법칙18 - [i] 발음 정확하게 듣고 발음하기
'i'에 강세가 오면 [에]와 비슷한 발음이 된다. 턱을 아래로 당겨서 발음하라.
'i'에 강세가 없으면 [어], 심지어 소리가 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i는 우리말 '이' 발음이 아니다. '이'와 '에'의 중간발음으로, '에'에 더 가까운 소리가 난다.
kiss me  sit down  immigrate  impossible 
으에를 빨리하거나 공기를 턱 하고 페에서 업새다보면 될수도?그 배를 퍽 맞앗을때 그 ~ 하는 그정도?
발음법칙19 - j와 g, dg 발음 확실하게 구별하기
dg 발음은 정석 [d] 소리에서 쥬 하는 소리를 연달아 내어 '(읏)쥬' 하고 발음한다.
j나 g 등의 발음은 우리말 '쥬'처럼 입술을 앞으로 모으고 부드럽게 발음한다.
DJ는 '디(읏)줴이', casual은 '캐쥬월'로 발음되는 이유.
joke  bridge  individual  large  television  pleasure  Asia  beige
모랄까, 걍 넘어가죠
꼭 쥬 는아니고 ㄷ 발음 약하게라도 난다는거
발음법칙20 - 'l'이라고 다 똑같이 들리는 건 아니다
[l]은 혀끝을 윗니 뒤에 대고 '얼' 하고 밀면서 소리를 낸다. 그런데 [l]은 style에서처럼
단어 끝에 오거나, film처럼 마지막 자음 바로 앞에 오면, 들릴 듯 말 듯 약화된다.
milk가 '미-얼(ㅋ)'로 발음되는 이유.
leadership  level  film  milk
milk는 미일ㅋ 정도?
어 발음은 아주 안들리게 해주셔야
발음법칙21 - 콧소리 [m]/[n]
[m]은 입술을 말아넣어 '음' 한 상태로 발음하여 여운이 콧등에 전달될 정도로 끌어준다.
[n]은 '은' 한 상태에서 발음을 시작하여 역시 여운이 콧등으로 전달될 정도로 끌어준다.
madam  manual  Monica  noon
콧등으로 안가도 되고 으정도
발음법칙22 - o 발음이 '아'로 소리나는 경우
영어 o 발음은 '오'가 아닌 경우가 많다. 일단 입모양을 약간 오므리고 턱을 밑으로 당기면서
소리내어 보라. 그러면 거의 [아]에 가깝게 들린다. 그게 바로 미국식 o 발음. '오렌지 주스,
please'가 '아륀 쥬-ㅆ, please'가 되는 이유.
jogging  coffee  politics  nominate
오ㅓ렌쥐 쥬ㅆ, 플리즈
발음법칙23 - '오'가 아니라 '오우'
영어에서 o[o]는 [ou/oi/or] 등을 발음할 때의 일부분의 소리다. 우리말 '오'와 같은
순수한 홀소리는 없다. joke는 '죠크'가 아니라 '죠우ㅋ'가 되는 이유.
joke  ghost  modem  doughnut(=donut)
오우는 맞죠
발음법칙24 - 'ㅍ'과 'p' 구별해서 정확하게 발음하기
p도 우리말 'ㅍ'과는 좀 다른 음이다. [b]와 같은 요령으로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약간 말아넣고 성대를 울리지 않으면서 바람소리로 내야 미국식 발음.
Pope  hope  purple  public
오케이
발음법칙25 - qu-, 제대로 발음하기
미국 사람들은 복모음을 한꺼번에 잘 발음하지 못한다. 대신 단모음에서 복모음으로
순차적으로 발음한다. 그래서 queen도 '퀸'이 아니라 '크위인'.
queen  request  Esquire  choir
쿠위인이 맞겠조ㅛ
발음법칙26 - r sound의 확실한 차별화 공식
첫소리 [r]은 입천장에 닿지 않게 구부린 혀를 펴면서 '(으)r-' 하고 내는 소리.
끝소리 [r]은 [아r] 또는 [어r] 하면서 혀를 구부려 소리를 낸다.
read  reason  recover  record 
뤼,루 이정도
혀를 천장에 닿지않게 한다음 맨뒤에다가 김밥으로 말아요~~
발음법칙27 -  ㅅ 또는 ㅆ 으로 소리나는 s
s가 모음 앞에 있을 때, 끝자음으로 '-s/-ss'의 형태일 때는 'ㅆ'로 발음한다.
그리고 's + 자음'의 복자음 형태일 때는 'ㅅ'으로 발음한다.
seat  basic  dress  switch  snap
이건 오케이로 하죠
발음법칙28 - 된소리를 유도하는 [s]
sk/sp/st로 연결되는 경우, s sound 다음에 오는 [k/p/t]는 된소리 'ㄲ/ㅃ/ㄸ'로 발음한다.
stop(ㅅ땁), scandal(ㅅ깬덜), Spain(ㅅ뻬인).
skirt  spade  stress  extension
타압
캐앤들(기울어진건 엄청 빨리해요)
페에
발음법칙29 - 미국식으로 하는 'wh-' 발음
미국식 영어에서는 wh-로 시작하는 단어에서 [h]발음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White House는 '화이트 하우스'가 아니라 '와이라우ㅆ'.
whale  whistle  whisper  White House
와잇하우ㅅ입니다
발음법칙30 - 복모음 만드는 [w/ju/y] 미국인처럼 발음하기
미국사람들은 [w],[ju],[y]로 만들어지는 복모음을 한번에 발음하지 못한다.
way[(우)웨이], Europe[(이)유럽], yes[(이)예ㅆ] 처럼 단모음에서 시작해 복모음을 만든다.
woman  yellow  yogurt  Eurailpass
ㅔ 발음을 ㅖ로 만들고 그정도 y 말이에요
전 알아듯겟는데 딴님들한텐 쫌 힘들찌도?
발음법칙31 - 번데기 th 발음 제대로 하기
th 발음은 혀를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살짝 내밀어 가볍게 물고 바람을 내보내는 소리.
thick  thirsty  month  Catherine
드어 정도?
발음법칙32 - [ð] 발음하기 & [ð]의 묵음현상
[ð]는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살짝 문 혀를 빼면서 내는 소리. 빠른 속도로 말할 때는
정관사 the, 인칭대명사 they/them, 부사 there 등의 th[ð]는 [n]처럼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문장 속에서 연음현상을 일으키는 경우.
though  bathe  smooth  teethe  then and there
She just stood there breathing deeply.
드어정도 소 는(엄청빨라야되는거근데
발음법칙33 - 빠른 대화에서 '-ing'의 [ŋ]발음 생략
ng[ŋ]은 [응] 하고 발음하면 된다. 빨리 말할 때는 -ing에서 g가 탈락되어
[-in] 정도로 발음하기도 한다.  going to를 '거너', something을 '썸쓴' 정도로 발음하는 이유.
loving  talking  something  going
썸ㅅ잉정도 입니다

 

 


728x90
반응형